개발환경
Unreal Engine 4.27.2
Visual Studio 2019
Twinmotion 2022.1
* 정식,교육용,체험판 아무거나사용해도됨, 이 포스팅의경우 정식License
필요한 Unreal Plugin (Engine)
1. Datasmith Twinmotion Importer
- Datasmith Twinmotion Importer Plugin (Beta 2)
2. Twinmotion Content for Unreal Engine Plugin
- Twinmotion Content for Unreal Engine Plugin (Beta 2)
* 트윈모션만 진행한다면 2번까지
3. Cesium for Unreal
- 전 세계 지형데이터 Open Street Map 활용
내용
1. Twinmotion 맵을 Unreal로 불러오기
2. Cesium 플러그인을 활용 전세계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Unreal에 구현
Twinmotion을 키면 이와같은 창이나오는데
Context - URBAN 클릭 이후 지도가 보일텐데 불러오고싶은 지형을 검색해서 찾는다
저 초록사각형(Zone to grab)을 눌러 불러오고싶은 지형을 사각형안에 넣어주고 오른쪽의 grab을 누른다. (ex 판교역)
그럼 이와같이 건물모양 및 지형데이터들(공원,도로 등)을 불러온다.
조금 더 많은 데이터를 불러와보자
File - New Scene 을 누른후 저장없이 새 씬을 만든다
아까와 동일한 지형에 지도를 축소시켜서 사각형안에 더 많은 지형데이터를 넣고 grab 하면
* 길어지는 로딩주의
판교동 ~삼평동 ~ 테크노밸리 ~ 아파트단지까지 전부 한눈에들어온다
건물들의 크기가작아진게 아니라 캡쳐장면이 그만큼 멀리서 보고있는것
이상태 그대로 Unreal로 옮기려면 일단 이 씬을 *.tm 파일(기본값)로 저장해준다.
Unreal Engine에서 위의 플러그인 1,2를 받아 엔진플러그인으로 설치해주고 프로젝트 세팅에서 활성화해준다.
* 용량 Datasmith Twinmotion Importer - 130MB
Twinmotion Content for Unreal Engine Plugin - 34.4GB
트윈모션보다 트윈모션 컨텐츠 플러그인이 용량이 더 크다. 뭐지??
이후 언리얼에서 DataSmith 버튼을눌러 아까 저장해뒀던 *tm파일을 Import한다
(보이지 않는다면 지원되는 파일확장자에 *.tm 파일이 추가되어있는지 확인, 플러그인 활성화 체크해줘야한다.)
Import 완료된 화면, 오른쪽 계층구조에 지형이름(~~공원 ~~도로 ~~건물)이 표시된다.
각 건물에 접근해 Material 이나 여러가지 설정을 만질 수 있다.
Twinmotion의 경우는 여기까지다루고 Cesium 플러그인으로 넘어가자
먼저 Cesium Plugin은 OpenStreetMap의 오픈소스 지도데이터를 활용해서 지형데이터를 언리얼로 불러올 수 있는 기능및 다양한 데이터를 불러오는기능을 제공한다.
단순히 지형,지도,건물등의 데이터 뿐만아니라 3D 점군데이터 PointCloud로 제작되어있는 드론으로 촬영한 항공뷰라던지 여러가지 정보를 Cesium사이트에서 Unreal로 제공해준다.
* 미리보기
https://www.unrealengine.com/marketplace/ko/product/cesium-for-unreal/
위의 플러그인을 받아서 다시 라이브러리에서 엔진설치 , 프로젝트에서 활성화해주자
비어있는 새 레벨을 하나만들고 전부 지워준다.
이후 PostProcessVolume을 끌어다놓고 Raytracing 옵션 활성화
- Reflections : RayTracing
- RayTracngReflections 전부체크
- Translucency - RayTracing
- RayTracingTranslucency : 리플랙션 비활성화
그리고 에디터 왼쪽 위에 위 그림과같이 창이생길텐데 해당창에서 Cesium 회원가입, 로그인을해서 연동하면된다.
Cesium SunSky , Dynamic Pawn 을 일단 + 로 불러오고
Cesium World Terrain + Bing Maps 3개중 아무거나 하나 +
1. Aerial imagery (위성이미지)
2. Aerial with Labels imagery (위성이미지 + Label(설명))
3. Maps Road imagery (지도)
Cesium OSM Buildings
건물 높이,모양(생김새) 등을 Texture나 Material없이 불러온다.
전세계 지형데이터 전부를 API를 이용해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불러올 수 있다.
+
2022.01.25 14:00 트윈모션 웨비나 내용 추가
2022.1 웨비나 노트정리
Edit - Preference (Ctrl + P) - Appearance - Language 로 언어설정가능
패스트레이서 (키보드 R키)
설명 : 유리 굴절 반사 등을 일으키는 재질에서 정확한 굴절,반사 구현 + 정확한 그림자 및 조명계산 및 네온 머티리얼에 대한 정확한계산
세팅 - 렌더러설정 에서 패스트레이서 설정가능 (기본값 - 중간)
패스트레이서는 실시간환경에 적합하지않음 (많은 계산량 소요)
~패스트레이서 세팅에 대한 설명
최대바운스 : Light가 얼마나 Bounce 할지에 대한 계산
감쇠 : 얼마나 깊게 IES 라이트가 관여할지
- 높게 설정하면 차이는 없지만 계산비용이 높아짐 Scene에 보이는 범위만큼만 조작
디노이저 : 패스트레이싱의 Noise를 줄여준다 (보통 그림자(음영)부분에 많이생김)
파이어플라이 밝기 : 자체발광 Material의 노출정도를 설정 - 기본값 권장
에일리어싱 필터링 : 낮으면 비용높아짐 , 높으면 비용낮아지며 흐릿해짐
모든 설정은 적절하게만 높여준다.
ex) 최대바운스 - 낮추면 대비가 강해짐 너무 높일필요 X
Top down View
-> Top view에서 PathTracer 활성화 -> 카메라 광각으로인한 왜곡 사라짐
눈모양 - Clipping 설정으로 건물의 지붕등을 투시해서 내부 평면도처럼 사용가능
HDRI 스카이돔
2022.1 기준 285개 제공 - 2K,4K,8K 해상도지원
세팅 - 스카이돔 활성화
- 활성화시 Dynamic Sky 의 Timezone 변경이 안됨
- 스카이돔 활성화 이후 태양매치 를 활성화해주어야함
if)태양매치 꺼짐 - Dynamic Sky의 Timezone으로 인한 그림자왜곡 발생 우려 ( 태양방향과 그림자방향이 안맞음)
- 특정 시간대의 더 높은 퀄리티를 제작가능
설정 ex) 노출을 낮추고 태양 강도를높이고 앰비언트를 낮추면 대비값이 높아짐
* Decal의 경우 PathTracing이 아직 처리하지못함
* Twinmotion Cloud - 단순히 Url + 암호 전송으로 이해관계자에게 프레젠테이션 가능
프레젠테이션모드 - 1. 파노라마(로딩속도 빠름 - 이미지기반) 로드뷰느낌
2. 클라우드스트리밍(로딩느림 - 에픽 트윈모션서버에서 렌더링후 개별 기기에 스트리밍
워크스루 - 직접돌아다니는 경험)
PointCloud 지원 ex) 2.5gb 데이터 import에 10sec 소요 (빠르다)
2021의 나누어져있던 Pipeline 통합 (데이터스미스 + 다이렉트링크)
3D Connection Mouse 지원
F12 - 전체화면 프레젠테이션 모드 (이상태로도 오브젝트 편집이 가능)
'Unrea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E5 blueprint bone rotate (0) | 2022.04.20 |
---|---|
언리얼엔진5 정식 출시 (0) | 2022.04.06 |
UE5 Chaos Destruction (1) | 2022.04.04 |
UE5 niagara Collision (0) | 2022.03.24 |
언리얼 엔진 5 소개와 신기능 (0) | 2021.08.03 |
댓글